본문 바로가기
그리스 로마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물건 - 트로이 목마

by 다다다맘 2024. 1. 11.
반응형

트로이 목마

트로이 목마는 트로이아 신화에서 나오는 트로이 전쟁의 장치이다.

사람이 그 안에 숨을 수 있는 나무로 만들어진 장치이다.

오늘날에는 일부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가리키기도 한다.

 

트로이 목마는 트로이 전쟁 때 그리스인들이 트로이성에 입성해 전쟁에서 승리할 때 사용했다고 알려진 목마이다.

10년간 성과 없는 포위 공격 끝에 오디세우스의 요청에 의해 거대한 목마를 만들고 오디세우스 자신을 포함한 엄선된 병력을 내부에 숨겼다. 

그리스인들은 항해를 나가는 척했고, 트로이인들은 승리의 트로피로 그 목마를 그들의 도시로 끌어들였다.

그날 밤 그리스군은 말에서 기어 나와 어둠을 틈타 항해하던 나머지 그리스군들을 위해 문을 열었다. 

그리스인들이 그 도시에 침입하여 파괴하면서 전쟁이 끝났다. 

 

은유적 표현으로 트로이 목마는 표적이 안전하게 보호된 요새나 장소로 적을 초대하게 만드는 모든 속임수나 계략을 의미하게 되었다. 사용자를 속여 의도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악성 바이러스 컴퓨터 프로그램을 트로이 목마라고도 한다. 

 

이 이야기의 현존하는 주요 고대 자료로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라틴 서사시인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드 이다.

 

트로이 목마

트로이아 전쟁

이 전쟁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한다.

파리스가 그리스의 공주 헬레네를 납치하면서 시작되었다.

 

트로이아의 성벽은 강해서 그리스 병사들이 뚫기 어려웠다. 그렇게 10년 동안 트로이아는 성공적으로 방어를 했으나,

지진에 의해 성 내부는 혼란에 빠지고, 그리스 연합군은 그 틈을 타 트로이아 왕을 공격해 죽이고 도시를 불태워버렸다.

그리고 헬레네는 다시 그리스로 돌아오게 되었다.

 

트로이아가 정복될 무렵 망명한 트로이아인들도 꽤 많았는데 아이네이아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 이야기는 발굴 이전까지는 신화로만 여겨졌으나 , 1871년 독일의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이 트로이아의 발굴에 성공하면서 실제 있었던 전쟁임이 밝혀졌다.

 

원인

그리스 측 주장

제우스는 인구가 증가하여 그 인구를 조절하기 위해 질서의 여신 테미스와 고민을 하였고 

결국 큰 전쟁을 일으켜 인류의 대부분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결의를 다졌다.

 

올림푸스에서는 인간의 아들 펠레우스와 티탄 족의 딸 테티스의 혼담이 오가고 있었다.

그러나 불화의 여신 에리스만이 잔치에 초대받지 못해 화가 나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 바치라는 황금의 사과를 신들의 자리에 보냈다.

이 이야기는 일전에 설명했던 파리스의 심판 이야기이다.

그렇게 헬레네를 빼앗아 갔으나 파리스의 여동생이자 트로이의 공주 카산드라만이 이 사건이 트로이아를 망하게 할 것이라고 예언했으나 아폴론의 저주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메넬라오스는 형인 뮤케나이의 왕 아가멤논에 그 사건을 말하였고, 또한 오디세우스와 함께 트로이로 가서 헬레네를 돌려줄 것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파리스는 이를 단호히 거부하고 이 때문에 헬레네 반환과 트로이를 징벌하기 위해 원정군을 조직했다. 

이 전쟁으로 신들도 편의 갈라져 헤라, 아테나, 포세이돈이 그리스 편을 들었고, 

아폴론, 아르테미스, 아레스, 아프로디테가 드로이 편을 들게 되었다.

 

페르시아 측 주장

페르시아 측에서는 전혀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데 

그리스 신화에서 지중해를 건너간 여성들은 사실 납치당해 결혼한 피해자들이었고 

신화 속 파리스가 헬레나를 트로이로 데려간 것도 그 납치혼의 보복이었다는 주장이다.

 

전설 속의 여신 이오는 사실 포이니케 사람들이 헬라스의 아르고스에서 이오를 납치한 것에서 시작되었고 

헬라스 측도 이에 보복하여 포이니케의 영토인 튀로스에서 공주 에우로페를 납치했다고 한다. 

그 뒤 그리스인들이 메데이아 공주를 납치하는 등 계속된 보복 납치혼으로 신경전을 벌이다가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가 보복 목적으로 헬레나를 납치했고 이것으로 인해 전쟁으로 확대되었다는 주장이다

트로이 전쟁

해석

트로이아 전쟁을 그리스와 트로이아간의 경제적인 이해관계에 따른 분쟁으로 해석하였다.

지중해 무역에서 주도권을 놓고 싸우던 그리스와 트로이아간의 경제적 이해관계가 전쟁으로까지 이어진 것이고,

이러한 역사를 호메로스가 알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서 자신의 신화적인 세계관점으로 설명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