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군의 날은 매년 10월 1일에 기념하는 중요한 국경일이다.
이날은 한국군의 건국을 기념하고 국가를 위해 복무하는 군인들을 기린다.
올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어 쉬게되는 국군의 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국군의 날 역사적 배경
1. 국군 창설 :대한민국 국군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육군은 1948년 12월 1일 , 해군은 1945년 11월 11일, 공군은 1949년 10월 1일에 창설되었으나
국군 전체를 대표하는 기념일은 따로 없었다.
2. 6.25 전쟁과 38선 돌파: 국군의 날을 10월 1일로 정한 이유는 1950년 10월 1일, 한국전쟁(6.25 전쟁) 당시 국군이 38선을 돌파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38선 돌파는 국군의 전진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대한민국의 군사적 전화점을 나타낸다.
3. 국군의 날 제정 : 1956년, 대한민국 정부는 군의 사기를 진작하고 국민의 군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국군의 날을 제정하였다. 그리하여 매년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정하고, 이를 기념하는 행사를 거행하게 되었다.
목적
국군의 날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1. 한국군의 헌신, 봉사, 희생을 기억한다.
2. 군대의 사기를 높인다.
3. 군대의 강점, 준비태세, 기술 발전을 보여준다.
국군의 날 행사와 의의
국군의 날은 군의 전투력 과시와 국가 방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날로, 다양한 군사 행사가 진행된다.
주요 행사는 다음과 같다:
- 군사 퍼레이드: 육해공군이 참여하는 대규모 퍼레이드가 수도권에서 열리며, 전차, 장갑차, 미사일, 전투기 등 첨단 무기가 전시된다.
- 군사 훈련 시범: 특수부대의 시범, 항공기의 공중 기동, 그리고 실제 훈련 장면을 국민에게 선보인다.
- 국군 장병 포상: 국군의 명예를 높인 장병과 부대에 대해 표창이 이루어진다.
- 국민 참여 행사: 일부 지역에서는 군 시설 개방이나 체험 행사가 열려 국민과 군이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오늘날 국군의 날 의미
국군의 날은 군의 존재와 역할을 상기시키는 동시에, 대한민국의 안보와 자주국방의 중요성을 알리는 중요한 기념일이다.
특히 북한과의 관계와 관련하여 한반도의 안보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군의 날은 강력하고 준비된 군대의 중요성을 계속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제 강대국, 특히 국가 방위 전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강조한다.
이 날은 국군 장병들의 헌신을 인정하고, 국민에게 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시키는 날로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나 2024년 올해 국군의 날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어 다들 연휴를 보낼 생각에 조금은 잊히는 것 같다.
이번 국군의 날은 대한민국의 안전과 자유에 대한 감사와 헌신을 표하는 순간으로 ,
이러한 이상을 지키고 있는 군들의 희생에 감사하는 날이 되었으면 좋겠다.